맨위로가기

알래스카 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래스카 준주는 1912년 제2차 기본법에 따라 알래스카 지구가 변경된 명칭이다. 1959년 1월 3일 미국 49번째 주로 승격되기 전까지 존재했으며, 주지사는 미국 대통령이 임명했다. 1913년 여성 투표권, 8시간 노동제 도입 등 개혁이 이루어졌고, 알래스카 원주민에 대한 차별도 존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알래스카는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일본군의 알류샨 열도 침략 시도가 있었다. 1956년에는 그림자 상원의원을 선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래스카주 설립 이전의 역사 - 러시아령 아메리카
    러시아령 아메리카는 18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러시아 제국이 북아메리카 서부에 소유했던 식민지로, 알래스카 지역을 중심으로 모피 무역이 활발했으나 원주민과의 갈등, 경쟁 심화, 재정적 어려움으로 1867년 미국에 매각되었으며, 러시아 정교회 선교 활동은 알래스카 원주민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 알래스카주 설립 이전의 역사 - 발토
    발토는 1925년 알래스카 노움의 디프테리아 유행 당시 혈청 수송 릴레이의 마지막 구간을 이끈 시베리안 허스키 개썰매 리더견으로, 그의 공헌을 기려 동상이 세워지고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미국의 준주 - 캔자스 준주
    캔자스 준주는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에 의해 설립되어 노예제 찬반 세력 간의 갈등("피흘리는 캔자스")을 겪었으나, 자유주 헌법 채택 후 1861년 자유주로서 연방에 가입한 미국의 자치령이었다.
  • 미국의 준주 - 미시시피 준주
    미시시피 준주는 1798년부터 1817년까지 미국에 존재했던 자치령으로, 스페인과의 분쟁 지역에서 시작하여 조지아주의 영유권 포기 지역과 서플로리다 일부를 합병하며 확장되었고, 미시시피주와 앨라배마 준주로 분할되어 미시시피주는 미국의 20번째 주가 되었다.
알래스카 준주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common nameAlaska Territory
국가미국
하위 구분준주
역사
시작 사건러시아령 아메리카
시작 날짜8월 24일
시작 연도1912년
종료 사건알래스카주 승격
종료 날짜1월 3일
종료 연도1959년
이전아라스카 지구
이후알래스카주
지도
알래스카 준주 지도
알래스카 준주 지도
국기 및 문장
알래스카의 기
알래스카의 기
상징알래스카의 문장
상징 종류문장
정치
수도주노
정부 형태자치령
지도자 직함주지사
주요 인물월터 E. 클라크 (1912–1913)
주요 인물 2와이노 E. 헨드릭슨 (1958–1959)
기타 정보
언어영어

2. 역사

1912년 〈제2차 기본법〉으로 알래스카 지구는 알래스카 준주로 이름이 바뀌었다.[18] 1916년 경 인구는 58,000명에 달했다. 알래스카 대의원 제임스 위커샴은 알래스카를 주로 승격하는 법안을 최초로 제출했지만, 알래스카 주민들의 관심을 받지 못해 실패했다. 1923년 워런 하딩 대통령의 알래스카 방문도 주 승격에 대한 폭넓은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제2차 기본법에 따라 알래스카는 네 개의 지역으로 분리되었고, 주도인 주노를 포함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은 다른 세 지역과 분리되어 주가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52개 연방 기관이 위치한 지역의 통치 운영 방법은 큰 문제였다.

1920년 존스법(상선법)은 성조기를 게양하는 선박은 미국에서 건조하고, 미국인이 소유하며, 미국 법률에 따라 문서를 작성(등록)하도록 의무화했다. 이로 인해 알래스카와 외부를 연결하는 물류는 미국 선박으로 시애틀까지 운반해야 했고, 알래스카는 워싱턴주에 의존하게 되었다. 미국 연방 대법원은 알래스카가 준주이므로 미국 헌법의 ‘주는 다른 주의 상행위를 지배해서는 안 된다’는 조항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고, 시애틀의 해운 회사는 이를 이용해 운송비를 인상했다.

세계 대공황으로 알래스카 경제의 생명선이었던 수산물과 구리 가격이 폭락했다. 임금은 하락했고, 취업자는 절반 이하로 줄었다. 1935년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은 농업 지역 국민을 위해 알래스카 마타누스카-수시트나 계곡으로 이주하여 농업 자급자족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미시간주, 위스콘신주, 미네소타주 등 북부 주에서 알래스카와 기후가 비슷하고 개척 생활을 견딜 수 있다고 생각한 이주자들이 대규모로 몰려왔다. 콩고인 생활 향상 협회 연합은 준주가 되면 충분한 참정권을 얻을 수 있다며 흑인 400명을 알래스카로 이주시켜 달라고 요청했지만, 인종적 편견과 북부 주 출신 이주자들만 적응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에 거절당했다.

1942년 6월부터 1943년 8월까지 알류샨 열도 전투에서 일본군알류샨 열도를 따라 미국을 침략하려 했다. 이는 미영 전쟁 이후 미국 땅을 밟은 두 번째 외국 군대였으며, 첫 번째는 1941년 12월 괌 섬 점령으로, 역시 일본군에 의한 것이었다. 일본군은 결국 34,000명의 군대에 의해 알류샨 열도에서 격퇴되었다.[19]

1959년 1월 3일, 미국 정부가 알래스카의 큰 가능성을 인식하면서 알래스카는 미국의 49번째 주가 되었다. 하와이주공화당 지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 것과 달리, 알래스카가 연방 의회에 민주당원을 선출할 수 있다는 전국 공화당 당원들의 우려로 인해 주 승격이 다소 지연되었다.[20]

2. 1. 설립 배경

1899년 형법 통과로 주류세가 포함되면서 알래스카의 의회 진출 요구가 높아졌고,[3] 1912년 8월 24일, 알래스카 자치구가 미국에 의해 조직적이고 통합된 준주가 되면서 이 논쟁은 종결되었다.

1912년 두 번째 유기법은 자치구 이름을 알래스카 준주로 변경했다.[4] 1916년경 인구는 약 58,000명이었다. 제임스 위커샴 하원 의원은 알래스카 최초의 주 승인 법안을 제출했지만, 알래스카 주민들의 무관심으로 인해 실패했다. 1923년 워런 G. 하딩 대통령의 알래스카 방문조차도 주 승격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두 번째 유기법에 따라 알래스카는 4개의 구역으로 분할되었다. 주도인 주노가 있는 가장 인구가 많은 구역은 다른 세 구역과 별도의 주로 독립할 수 있는지 궁금해했다. 정부 통제가 가장 큰 관심사였으며, 준주는 52개 연방 기관의 통제를 받고 있었다.

2. 2. 초기 발전과 어려움

1912년 〈제2차 기본법〉으로 알래스카 지구(District of Alaska)는 알래스카 준주로 이름이 바뀌었다.[4] 1916년 경 인구는 58,000명에 달했다. 의회에 파견되어 있던 알래스카 대의원 제임스 위커샴은 알래스카를 주로 승격하는 법안을 최초로 제출했지만, 알래스카 주민들의 관심을 받지 못해 실패했다. 1923년 워런 하딩 대통령이 알래스카를 방문했으나 주 승격에 대한 폭넓은 관심을 불러일으키지는 못했다. 제2차 기본법의 규정에 따라 알래스카는 네 개의 지역으로 분리되었다. 주도인 주노를 포함하고 있는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은 다른 세 지역에서 분리되어 주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기도 했다. 52개 연방 기관이 위치한 지역에서 통치 운영 방법은 큰 문제였다.

1920년 존스법(상선법)은 성조기를 게양하는 선박은 미국에서 건조하고, 미국인이 소유하며, 미국의 법률에 따라 문서를 작성(등록)하는 것을 의무화했다. 따라서 알래스카와 외부를 연결하는 물류는 밖으로 보내기 전에 미국 선박으로 시애틀까지 운반해야 했고, 알래스카는 워싱턴주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미국 연방 대법원은 알래스카가 준주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미국 헌법에 규정된 '주는 다른 주의 상행위를 지배해서는 안 된다'라는 조항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이 상황을 이용하여 시애틀의 해운 회사는 운송비를 인상했다.

세계 대공황으로 인해 당시 알래스카 경제의 생명선이었던 수산물과 구리 가격이 폭락했다. 임금은 하락했고, 취업자는 절반 이하로 줄었다. 1935년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은 농업 지역에 사는 국민을 위한 방안으로 알래스카의 마타누스카-수시트나 계곡으로 이주하여 농업에서 자급자족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알래스카가 자신들의 주와 기후가 비슷하고 개척자들이 생활을 견딜 수 있다고 생각하여 미시간주, 위스콘신주, 미네소타주와 같은 북부 주에서 대규모 이주자들이 몰려왔다. 콩고인 생활 향상 협회 연합은 준주이면 충분한 참정권을 준다며 대통령에게 흑인 400명을 알래스카로 이주시켜 달라고 요청했으나, 인종적 편견과 북부 주에서 이주자들만 적응하는 개척자가 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에 거절당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전략적 중요성

1942년 6월부터 1943년 8월까지 알류샨 열도 전투에서 일본군알류샨 열도를 따라 미국을 침략하려고 했다. 이는 미영 전쟁 이후 미국 땅을 밟은 외국 군대로는 두 번째였으며, 첫 번째는 1941년 12월 괌 섬 점령으로, 이 역시 일본군에 의한 것이었다. 일본군은 결국 34,000명의 군대에 의해 알류샨 열도에서 격퇴되었다.[7]

알래스카가 미국에 갖는 전략적 중요성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더욱 분명해졌다. 1942년 4월, 준주 내 일본계 주민 200명 이상이 강제로 내륙 수용소로 이송되었는데, 이는 미국 서부 해안에서 일본계 모든 사람을 퇴거시키고 수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행정명령 9066의 결과였다.[6]

1945년 봄과 여름, 알래스카 반도의 콜드 베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가장 크고 야심 찬 이전 프로그램인 헐라 작전의 장소였다. 이 작전을 통해 미국은 149척의 선박을 소련에 이전하고, 소련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할 것을 예상하여 12,000명의 소련 인력을 훈련시켰다. 헐라 작전 기간 동안 콜드 베이와 포트 랜달에는 약 1,500명의 미국 인력이 상시 주둔했다.[8]

2. 4. 사회적 역학 관계

1920년 존스법에 따라 미국 선적 선박은 미국에서 건조되고, 미국 시민이 소유하며, 미국 법률에 따라 등록되어야 했다. 알래스카를 드나드는 모든 상품은 미국 선박으로 운송되어 추가 운송 전에 시애틀로 선적되어야 했으므로, 알래스카는 ''사실상'' 워싱턴주의 상업에 종속되었다. 미국 대법원은 한 주가 다른 주의 상업을 지배해서는 안 된다는 헌법 조항이 알래스카가 단지 준주였기 때문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시애틀의 해운 사업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가격을 인상했다.

대공황으로 당시 알래스카 경제에 필수적이었던 생선과 구리 가격이 하락했다. 임금이 삭감되었고, 노동력은 절반 이상 감소했다. 1930년대 중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농업 지역의 미국인들을 알래스카의 머터누스카-수시트나 계곡으로 이주시켜 농업 자립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5] 이주민들은 알래스카와 유사한 기후에서 자란 사람들만이 정착 생활을 할 수 있다는 믿음에 따라 주로 미시간주, 위스콘신주, 미네소타주와 같은 미국 중서부 북부 주 출신이었다. 콩고개선협회는 대통령에게 400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농부를 알래스카에 정착시킬 것을 요청하며, 준주가 완전한 정치적 권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인종적 편견과 북부 주 출신만이 적합한 이주민이 될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이 제안은 실패했다.

알래스카의 탐험과 정착은 항공기 개발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며, 이는 정착민들이 주 내륙으로 유입되고, 사람과 물품이 빠르게 운송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불리한 기상 조건과 인구 대비 조종사의 높은 비율로 인해, 1,700개 이상의 항공기 잔해가 알래스카 전역에 흩어져 있다. 수많은 잔해는 제2차 세계 대전냉전 동안 주의 군사력 증강의 기원을 추적한다.

알래스카의 미국에 대한 전략적 중요성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더욱 분명해졌다. 1942년 4월, 준주 내 일본계 200명 이상이 강제로 내륙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이는 정부가 미국 서부 해안에서 일본계 모든 사람을 퇴거시키고 수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행정명령 9066의 결과였다.[6]

1913년 준주 의회의 첫 번째 회기 동안 여성의 투표권 허용, 8시간 노동제 도입 및 기타 노동 규제, 일부 알래스카 원주민 마을에 자치권 부여, 교육을 위한 준주 위원회 설립, 채굴 조건 규제 등 다양한 개혁이 이루어졌다.[9]

준주는 1915년 일부 알래스카 원주민에게 "부족 관습과 전통을 포기"하는 조건으로 투표권을 부여했다. 알래스카는 준주였기 때문에 제19차 수정안을 비준하지 않았다.[10] 1945년 알래스카 평등권 법(1945년)이 발효되어 인종 차별과 차별을 금지하기 전까지 알래스카 준주에서는 알래스카 원주민에 대한 인종 차별이 행해졌으며, 이는 미국 최초의 관련 법이었다.[11]

3. 주 승격

1912년의 "두 번째 기본법"에 따라 알래스카 지구(District of Alaska)는 "알래스카 준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8] 1916년까지 그 인구는 58,000명에 달했다. 연방 의회에 파견되었던 알래스카 대의원 제임스 위커샴은 알래스카를 주로 승격시키는 첫 번째 법안을 제출했지만, 알래스카 주민들의 관심을 끌지 못해 실패했다. 1923년 워런 하딩 대통령이 알래스카를 방문한 것조차 주 승격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두 번째 기본법의 규정에 따르면, 알래스카는 4개의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주도인 주노를 포함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은 다른 세 지역으로부터 분리되어 주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52개에 달하는 연방 기관이 있는 이 지역에게 통치 운영 방식은 큰 문제였다.

1920년 존스법(상선법)에 따라, 성조기를 게양하는 선박은 미국에서 건조하고, 미국 국민이 소유하며, 미국의 법률에 따라 문서(등록)를 작성해야 했다. 따라서 알래스카와 외부를 연결하는 물류는 외부로 보내기 전에 미국의 선박으로 시애틀까지 운송되어야 했고, 알래스카는 시애틀이 있는 워싱턴주에 대한 의존을 강요받았다. 미국 대법원의 판결에 따르면, 알래스카는 준주에 불과하므로 헌법에 규정된 "주는 다른 주의 상거래를 지배해서는 안 된다"는 조항은 적용되지 않았다. 이 상황을 이용하여 시애틀의 해운 회사는 운임을 인상했다.

세계 대공황으로 인해 당시 알래스카 경제의 생명선이었던 수산물과 구리 가격이 하락했다. 임금은 하락하고 취업자 수는 절반 이하로 줄었다. 1935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농업 지역에 거주하는 국민을 위한 재출발 방안으로, 알래스카의 마타누스카-수시트나 계곡으로 이주하여 농업으로 자급자족하게 하는 것을 생각했다. 알래스카가 자신들의 주와 기후가 비슷하고 개척자 생활에 견딜 수 있다고 생각한 미시간주, 위스콘신주, 미네소타주와 같은 북부 주에서 많은 이주자들이 왔다. 콩고 생활 향상 협회 연합은 준주라면 충분한 참정권을 부여받을 수 있다고 말하며, 대통령에게 아프리카계 미국인 400명을 알래스카로 이주시켜 달라고 요청했지만, 인종적 편견과 북부 주에서 온 이주자만이 적응할 수 있는 개척자가 될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그 요청은 거절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알래스카의 참가는 매우 중요했다. 1942년 6월부터 1943년 8월까지, 알류샨 열도 전투에서 일본군알류샨 열도를 통해 미국을 공격하려 했다. 1812년미영 전쟁 이후, 미국의 땅을 밟은 외국 군대는 두 번째였으며, 첫 번째는 1941년 12월의 괌 섬이었고, 역시 일본군에 의해서였다. 일본군은 최종적으로 34,000명의 군대에 의해 알류샨 열도에서 격퇴되었다.[19]

결국 미국 정부가 이 지역의 큰 가능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1959년 1월 3일, 알래스카는 미국의 49번째 주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주 승격을 목표로 하고 있었으며, 공화당 지지를 고려하고 있던 하와이주와는 대조적으로, 알래스카가 연방 의회에 민주당원을 선택할지도 모른다는 전국 공화당 당원들의 걱정 때문에 약간의 지연이 있었다.[20] 최근, 이러한 예측은 두 주 모두 반대 결과로 바뀌었다.

4. 정부

1912년 두 번째 유기법에 따라 자치구의 이름이 알래스카 준주로 변경되었다.[4] 제임스 위커샴 하원 의원은 알래스카 최초의 주 승인 법안을 제출했지만, 알래스카 주민들의 무관심으로 인해 실패했다. 워런 G. 하딩 대통령의 1923년 방문 (그가 사망하기 불과 며칠 전)도 주 승인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두 번째 유기법의 조건에 따라 알래스카는 4개의 구역으로 분할되었다. 수도가 주노인 가장 인구가 많은 구역은 다른 세 구역과 별도의 주로 독립할 수 있는지 궁금해했다. 당시 알래스카 준주는 52개의 연방 기관의 통제를 받고 있었으며, 정부 통제가 가장 큰 관심사였다.

알래스카 준주의 지사는 미국 대통령이 임명하는 방식이었으며, 선출직이 아니었다.[9] 알래스카 지사의 임기는 4년이었으며, 법안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었지만, 입법부의 2/3 찬성으로 거부권을 무효화할 수 있었다.[13] 알래스카 준주는 준주 사법 체계가 없었으며, 모든 문제는 연방 법원에서 처리했다.[9]

4. 1. 법 집행

알래스카 준주에 전담 법 집행 기관이 설립되기 전, 알래스카의 법 집행은 수십 년 동안 미 육군, 해군, 수입 관세국을 포함한 다양한 연방 기관에서 담당했다. 1884년 민간 정부가 수립되면서 미국 연방 보안관국도 부 보안관을 준주 전역에 배치했다. 연방 보안관, 시에서 설립한 경찰서, 기타 연방 법 집행관들이 1941년 알래스카 고속도로 순찰대가 창설될 때까지 준주의 주요 법 집행 수단으로 활동했다. 고속도로 순찰대는 알래스카의 주요 고속도로만 순찰했고, 외딴 지역이나 지방은 방문하지 않았다. 그들은 교통 법규를 집행하도록 위임받았다. 결국 관할권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특별 부 보안관으로 임명되었다. 입법부는 기관 명칭이 알래스카 준주 경찰로 변경되고 미 연방 보안관의 인원 중에서 추가 인력이 고용될 때까지 그들을 경찰관으로 만드는 것을 거부했다. 이 기관은 1953년 알래스카 준주 경찰이 되었고, 1967년에는 다시 알래스카 주 경찰로 명칭을 변경했다.

주 승격 이전에는 연방 교도소국이 알래스카에 대한 교정 관할권을 가지고 있었다.

4. 2. 역대 주지사

순서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월터 엘리 클라크1912년1913년
2존 프랭클린 알렉산더 스트롱1913년1918년
3토머스 리그스 주니어1918년1921년
4스콧 코델 본1921년1925년
5조지 알렉산더 파크스1925년1933년
6존 웨어 트로이1933년1939년
7어니스트 그루닝1939년1953년
8B. 프랭크 하인츠먼1953년1957년
9와이노 헨드릭슨1957년1957년대행
10마이크 스테포비치1957년1958년
11와이노 헨드릭슨1958년1959년대행


4. 3. 그림자 상원의원 (Shadow senators)

알래스카는 테네시 계획에 따라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원의원과 전 주 대표를 두었으며,[15] 17차 수정안 통과 이후, 해당 주에서 선출된 유일한 그림자 의원들이었다.[16]

준주직책이름선출취임
알래스카상원의원어니스트 그루닝1956년 10월 6일1959년 1월 7일
상원의원윌리엄 A. 이건1958년 주지사로 선출됨
하원의원랄프 J. 리버스1959년 1월 7일


참조

[1] 법규 USStat 37, 512
[2] 보고서 Population of the States and Counties of the United States: 1790–199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0-05-18
[3] 서적 Alaska Russell & Russell INC
[4] 웹사이트 The 49th State: A Brief History of Alaska Statehood (1867–1959) http://xroads.virgin[...] American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Virginia 2005-08-31
[5] 서적 Alaska politics & government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6] 웹사이트 Japanese community recalls JBER internment camp https://www.alaskapu[...] Alaska Public Media 2016-02-22
[7] 간행물 America's War in the Aleutians 2001-11
[8] 서적 Project Hula: Secret Soviet-American Cooperation in the War Against Japan Naval Historical Center
[9] 서적 Alaska politics & govern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0] 웹사이트 First Territorial Legislature of Alaska https://www.nps.gov/[...] 2024-10-31
[11] 웹사이트 Alaska's Unique Civil Rights Struggle https://daily.jstor.[...] 2024-10-31
[12] 웹사이트 Governing Alaska – Campaign for Statehood http://www.akhistory[...]
[13] 서적 General Information Regarding the Territory of Alaska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23
[14] 웹사이트 History of Lemon Creek Correctional Center http://www.correct.s[...] Alaska Department of Corrections 2015-12-13
[15]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Shadow Senators of the United States http://senatordc.wdc[...]
[16] 웹사이트 Testimony of Paul Strauss https://www.hsgac.se[...]
[17] 서적 Alaska Russell & Russell INC
[18] 웹사이트 The 49th State: A Brief History of Alaska Statehood (1867–1959) http://xroads.virgin[...] American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Virginia 2005-08-31
[19] 간행물 America's War in the Aleutians 2001-11
[20] 웹사이트 Governing Alaska - Campaign for Statehood http://www.akhistory[...]
[21] 서적 Alaska Russell & Russell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